[수사단계] 기소유예와 선고유예
기소유예와 선고유예의 차이점에 대한 문의합니다.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.
====================
☞ 형사소송법 제247조(기소편의주의)에 의거 검사는 형법 51조의 사항을 참작하여 공소를 제기하지 아니 할 수 있다(기소유예)
1) 공소는 검사가 피고인으로 지정한 사람외는 다른 사람에게는 그 효력이 미치지 아니한다
2) 범죄사실의 일부에 대한 공소는 그 효력이 전부에 미친다
검사의 기소유예 처분을 받은자가 같은 죄 등으로 중한 죄를 범한 때에는 기소유예 처분을 취소하고 다시 공소를 제기 할 수 있다
1)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, 자격정지 또는 벌금의 형을 선고 할 경우에 형법 제 51조의 사항을 참작하여 개전의 정상이 현저한 때에는 그 선고를 유예 할 수 있다.
단, 자격정지 이상의 형을 받은 전과가 있는 자에 대하여는 예외로 한다
2) 형을 병과 할 경우에도 형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그 선고를 유예 할 수 있다
형의 선고유예를 받은 날로 부터 2년을 경과 한 때에는 면소 된 것으로 간주한다
1) 형의 선고유예를 받은 자가 유예기간 중 자격정지 이상의 형에 처한 판결이 확정되거나 자격정지 이상의 형에 처한 전과가 발견 된 때에는 유예한 형을 선고한다
2) 형법 제59조의 2의 규정에 의하여 보호관찰을 명한 선고유예를 받은 자가 보호관찰기간 중에 준수사항을 위반하고 그 정도가 무거운 때에는 유예한 형을 선고한다
☎ 무료 법률상담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고 친구추가 하시면 카카오톡으로 상담가능 합니다.
☎ 카톡상담 ▷ http://goto.kakao.com/hjqu9c6q
☎ 구독하기 ▷ story.kakao.com/ch/lawtem/app
#법률상담 #법무법인 #법무사 #변호사 #형사 #민사 #소송 #부동산 #폭력 #폭행 #피의자 #가사 #사건 #이혼 #유산 #상속 #성범죄 #성폭행 #회생 #파산
'생활법령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혼] 외국에서의 협의이혼 (0) | 2016.03.16 |
---|---|
[가정법률] 친양자 입양관계증명서의 발급제한 (0) | 2016.03.16 |
[아이돌] 성명, 예명의 상표등록 (0) | 2016.03.15 |
[소비자분쟁해결] 청약철회 또는 계약해제 방법 (0) | 2016.03.15 |
[무고죄] 무고죄 성립 여부 (0) | 2016.03.15 |